Nodejs/JS Basic

Javascript의 기초 #2

Sila 2022. 2. 9. 22:43

어제에 이어서 JavaScript를 운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들을 몇 가지 더 살펴보자.

오늘은 if 조건문 for 반복문, 그리고 함수의 선언과 호출을 다룬다.

1. if 조건문

조건으로 준 boolean true일 경우 코드 블럭 안의 내용를 실행하고,

만족하지 않을 경우 실행하지 않고 넘어가는 코드이다.

1. if 조건문

if(boolean) {
  ( ) 안의 boolean이 true일 경우 실행되는 코드 내용
}

의 형식으로 써주면 된다. 예를 들어,

if (a > b) {
  console.log('a는 b보다 크다')
}

이렇게 조건문을 사용한 경우, a>b boolean true일 경우, 코드 블록안의 코드

console.log('a는 b보다 크다')가 실행된다.

 let a = 10, b = 20;
 if (a > b) {
   console.log('a는 b보다 크다')
 }

이렇게 a, b의 값을 정하고 조건문을 실행하면 ( )안의

boolean false이므로 코드 블럭안의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다.

( ) 안에는 boolean이 들어간다는 사실을 기억해두자.

1.2 if else 조건문

if else조건문은 boolean true일 경우 if의 내용을, false일 경우 else의 내용을 실행하는 코드이다.

  if (boolean) {
    boolean이 참일 경우 실행할 내용
  }
  else {
    boolean이 거짓을 경우 실행할 내용
  }

과 같은 형식으로 써주면 된다. 예를 들어

  if (a == b) {
    console.log('a와 b는 같다.')
  }
  else {
    console.log('a와 b는 다르다.')
  }

다음과 같은 코드에서 변수 a와 b의 값이 같을 경우 'a와 b는 같다'는 문장이 출력되며,

그렇지 않을 경우 'a와 b는 다르다.`는 문장이 출력된다.

2. for 반복문

동일하거나 비슷한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고 싶을 때 쓰인다.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.

  for (변수 and 초기조건; 반복 조건; 변수 변화) {
 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실행할 코드
  }

예를 들어

 for (let i = 0; i <= 10; i++) {
   console.log('반복문 연습하기')
 }

이렇게 쓴 코드에서는

i) i = 0으로 시작해,
ii) 조건 (i <= 10)을 만족하는지 확인한 후,
iii) 코드 블럭 안의 console.log('반복문 연습하기')를 수행하고,
iv) i++ 를 수행해 i값을 1 증가시킨 후,
v) ii)부터 iv)까지를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때까지 반복한다.

코드를 수행해보면 '반복문 연습하기' 문자열이 11번 출력된다.

한 예시로, 1부터 10까지 출력하되, 3의 배수일때는 '3의 배수입니다.' 라는 문자열을 출력하고 싶을 때는

for(let i = 1; i <=10; i++) {
  if ( i % 3 == 0) {
    console.log('3의 배수입니다.');
  }
  else {
    console.log(i);
  }
}

이렇게 if문과 for문을 혼용해서 써주는 것도 가능하다.

3. 함수 (function)

함수는 미리 입력한 여러 코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.

function 함수이름 (매개변수(없을수도 있음)) {
  함수 내용;
}

의 형식으로 선언된다.

예를 들어

function prac() {
  console.log(`함수 연습입니다.`);
}

처럼 prac 함수를 선언해줄 수 있다.

이를 실행해보면 출력되는 문구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,

이는 함수를 선언했을 뿐, 호출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.

하단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해 다시 써보면 다음과 같다.

function prac() {
  console.log('함수 연습입니다.`);
}  // 여기까지가 함수 선언

prac()   //  함수 호출 

수행해보면 prac()함수가 실행되어 문자열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마지막으로 매개변수를 가지는 함수를 한 가지 살펴보자.

수학에서의 함수처럼 하나의 값을 넣으면 그 값을 짜 놓은 코드를 따라

적당한 처리를 거쳐 결괏값을 내준다.

function prac2(a) {     //  a를 매개변수로 가진다.
  console.log(2*a + 1);        //  a에 2를 곱한 후 1을 더한 값을 출력한다.
}

prac2(2);

결괏값은 2에 2를 곱한 후 1을 더한 값 5가 나온다.

여러개의 매개 변수를 가지는 함수도 만들 수 있다.

function prac3(a,b) {
  console.log(a+b+2);
}

prac3(5, 3);

결괏값으로 5( = a)+3( = b)+2를 계산한 10이 나온다.